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식증 차이점

by ◆◆◆◆◆ 2022. 7. 19.

노을지는해변-여자가-서있다
자궁질환

매달 월경을 자세히 살피지 않는다면, 어느새 자궁에 질환이 자리 잡고 있을 것입니다. 자궁질환 중 자궁내막 질환인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은 자궁 안쪽에 있는 막으로 한 달 주기로 떨어져 나가고 다시 만들어지기를 반복합니다. 이 과정이 바로 월경이며, 생리할 때 떨어져 나오는 혈액이 바로 자궁내막입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내막에 있지 않고 자궁 밖에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궁내막 조직이 난소, 나팔관 또는 복강에 자리 잡는 것입니다. 이 조직들은 자궁 밖에 존재하여도 자궁내막 조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각종 성호르몬에 반응합니다. 따라서, 염증반응이 생겨 세포가 섬유화 되고 극심한 통증으로 불임을 유발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월경할 때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와 밖으로 배출이 되어야 하는데 난관으로 역행하면서 자궁내막 세포가 골반 내로 이동하여 발생합니다.

 

위험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신체적·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어머니나 할머니가 자궁질환이 있으면 자궁내막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체적·환경적 요인으로는 가임기 여성, 키가 크고 마른 여성, 에스트로겐이 과다한 여성, 월경주기가 짧거나 월경주기가 긴 여성, 12세 이전 빠른 초경, 출산 횟수가 적은 여성에게 위험도가 높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증상으로 월경통이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월경 시작 전부터 월경 기간 내내 지속되는 진행성 월경통입니다. 평상시에도 요통과 복통이 잦으며, 성교통이 심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 검사로 내진을 통해 골반 검사를 하거나 초음파 검사, 자기 공명 영상으로 자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복강경 검사로 확인하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치료는 환자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지만, 수술과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수술은 자궁절제술과 난소난관절제술이 있습니다. 약물치료로는 진통제, 경구피임제, 황체호르몬, 다나졸 등을 사용합니다. 약물 치료로 다나졸이 많이 사용됩니다. 다나졸은 난포자극 호르몬(FSH)과 황체형성 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궁내막을 퇴화시킵니다. 다나졸의 부작용에는 무월경, 체중 증가, 부종 등이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자궁은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 자궁 내막층, 자궁 근층, 자궁 외막층이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세포들이 자궁  근층에 파고들어 자궁근을 두껍게 만드는 병입니다. 지금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자궁선근증의 증상은 심각한 빈혈이 생길 정도의 월경량 증가와 월경통입니다. 골반통이 있을 수 있고 불임이 될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의 환자 1/3은 무증상이기도 합니다.

 

자궁선근증 진단은 초음파 검사나 자기 공명 영상으로 확인합니다. 치료는 나이와 증상을 고려하여 경구 피임약, 여성호르몬 억제 주사 등의 약물치료를 하거나 미래나 시술이나 하이푸 시술 등을 시도합니다. 증상에 따라 외과적 수술을 진행하는데 증상이 심하거나 폐경까지 기간이 많이 남아있는 경우엔 자궁적출술을 합니다.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증과 자궁내막 증식증은 병명이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질환입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은 내막 안에 있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되는 것을 말합니다. 세포가 너무 많아 성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은 단순 낭성 증식증과 선종성 증식증으로 나눕니다. 단순 낭성 증식증은 자궁내막 세포가 증가는 되어 있으나 암으로 발전하지는 않습니다. 선종성 증식증은 종양 상태 정도로 선들이 증식된 상태를 말합니다. 선종성 증식증은 5~10% 환자는 자궁내막암으로 발전됩니다. 원인은 난소의 기능이 이상하거나 난소에 혹이 있어 에스트로겐 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면서 자궁내막을 과도하게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의 증상은 월경량이 많고 자궁출혈이 있습니다.

 

진단은 골반 검사로 자궁 크기를 확인하거나 분할 소파술이나 자궁내막 조직을 잘라내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확진합니다. 치료는 환자의 연령과 유형에 따라 결정합니다. 임신을 원할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하며 10대와 가임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투여하는 호르몬 치료합니다. 폐경이 가까운 여성의 경우, 자궁절제술을 하거나 프로게스테론만 투여합니다. 폐경한 여성의 경우 자궁을 절제하거나 양측 난소 난관을 절제합니다.

 

 

 

댓글